
팬데믹은 왜 우한에서 발생했을까?
(편집자 주) 최근 한 온라인 독립 과학 저널의 두 기고가가 이번 판데믹의 진원지가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일 가능성을 제기하였습니다. 이 분야의 ...

강아지용 기생충약으로 암을 치료한다?
필자가 자주 서식하는 곳에서 갑자기 뜬금없는 글이 올라와서 필자의 눈을 잡아 끌었다. 무슨 일인가 싶어서 본문에 등장하는 약제와 해당 논문을 ...

길먼 대 미첼, 휴식 치료는 여성 혐오일까?
그림. 샬럿 퍼킨스 길먼의 『누런 벽지』를 원작으로 한 영화 <The Yellow Wallpaper> (2016) 에서. 출처: IMDb 19세기 미국의 여성 작가 ...

1956년 LSD의 환각 실험 영상
LSD (Lysergic acid diethylamide)는 강력한 환각 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이며 국내에서는 향정신성의약품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물질입니다. 1938년 스위스의 화학자 알베르트 호프만(Albert Hoffman)에 ...

동성애가 정신질환 목록에서 빠지는 데 큰 역할을 했던 “익명 의사”
그림. 1972년 미국 정신의학회 토론장에 선 “익명 의사”. 출처: 위키미디어 커먼즈 이제는 많이들 잊으셨겠지만 한창 주가를 높이던 홍석천 씨가 2000년 ...

스스로 자기 눈을 찌른 의사-과학자, 제멜바이스
Bettmann/Corbis ‘미치광이 과학자(mad scientist)’라는 표현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슈퍼맨>에 등장하는 악당 렉스 루터 박사처럼 세계를 정복하려는 과학자가 대표적이죠. 아니면 『프랑켄슈타인』에서 괴물을 ...

에이브러햄 플렉스너, 의학을 표준화하다
미드 "The Knick"의 한 장면 (출처 imdb) 에이브러햄 플렉스너, 의학을 표준화하다 혁신이라는 말이 언젠가부터 일상에 녹아든 것 같습니다. 특히 정보기술 ...

의사들의 한 논문으로 시작된 트윗 전쟁
2018년 10월 30일 한 그룹의 의사들이 논문을 발표합니다. 이들은 11월 20일자 저널에 실린 이 논문에서 총기 난사 사건으로 인한 인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