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enu
  • 전체 기사
  • 특집 기사
    • innuendo가 떠먹여주는 의과학 한 입 거리
    • NeuroSum의 창조 과학 부수기
    • 안야로의 생정보 (Bioinformatics)
    • 별터/김승남의 천체 사진
    • 김호정의 개발도상국 주택 이야기
    • 옥토의 “사이보그 되기”
    • 스켑틱스(Skeptics), “식품의 오해와 진실 밝히기”
    • Stemness의 줄기 세포 이야기
    • PKD의 유전자 이야기
    • 오상의 과학과 사회
    • 김세훈의 물질 물리학
    • 혼돈의 가장자리를 헤매는 소금쟁이
    • 김민재의 천체물리학
    • 고장난 몸의 라디오 – 작은 목소리들
    • 푸른 나침반: 건전한 바다이야기
  • 분야별 기사
    • 생명과학
    • 의학
    • 물리학
    • 컴퓨터과학
    • 천문학
    • 기계공학
    • 식품과학
  • tSL에 관하여
    • tSL에 관하여
    • 필진 모집
    • 광고 및 후원 문의
  • Search
  • 전체 기사
  • 특집 기사
    • innuendo가 떠먹여주는 의과학 한 입 거리
    • NeuroSum의 창조 과학 부수기
    • 안야로의 생정보 (Bioinformatics)
    • 별터/김승남의 천체 사진
    • 김호정의 개발도상국 주택 이야기
    • 옥토의 “사이보그 되기”
    • 스켑틱스(Skeptics), “식품의 오해와 진실 밝히기”
    • Stemness의 줄기 세포 이야기
    • PKD의 유전자 이야기
    • 오상의 과학과 사회
    • 김세훈의 물질 물리학
    • 혼돈의 가장자리를 헤매는 소금쟁이
    • 김민재의 천체물리학
    • 고장난 몸의 라디오 – 작은 목소리들
    • 푸른 나침반: 건전한 바다이야기
  • 분야별 기사
    • 생명과학
    • 의학
    • 물리학
    • 컴퓨터과학
    • 천문학
    • 기계공학
    • 식품과학
  • tSL에 관하여
    • tSL에 관하여
    • 필진 모집
    • 광고 및 후원 문의
사이언스 라이프

고장난 몸의 라디오 – 작은 목소리들

글쓴이 : 글 깎는 의사

의료윤리와 의료인문학을 전공한 소아치과 의사로, 의료와 사회, 이야기가 교차하는 지점을 연구하고 가르칩니다


길먼 대 미첼, 휴식 치료는 여성 혐오일까?

그림. 샬럿 퍼킨스 길먼의 『누런 벽지』를 원작으로 한 영화 <The Yellow Wallpaper> (2016) 에서. 출처: IMDb 19세기 미국의 여성 작가 ...
Read More

동성애가 정신질환 목록에서 빠지는 데 큰 역할을 했던 “익명 의사”

그림. 1972년 미국 정신의학회 토론장에 선 “익명 의사”. 출처: 위키미디어 커먼즈 이제는 많이들 잊으셨겠지만 한창 주가를 높이던 홍석천 씨가 2000년 ...
Read More

프랜시스 골턴, 위대하고 위험한 분류자

그림.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의 짐으로 태어난다.” 1926년경 미국에서 부착된 우생학 옹호 포스터. 출처: 위키미디어 커먼즈 2018년 한국은 여러 이슈로 ...
Read More

스스로 자기 눈을 찌른 의사-과학자, 제멜바이스

Bettmann/Corbis ‘미치광이 과학자(mad scientist)’라는 표현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슈퍼맨>에 등장하는 악당 렉스 루터 박사처럼 세계를 정복하려는 과학자가 대표적이죠. 아니면 『프랑켄슈타인』에서 괴물을 ...
Read More

에이브러햄 플렉스너, 의학을 표준화하다

미드 "The Knick"의 한 장면 (출처 imdb) 에이브러햄 플렉스너, 의학을 표준화하다 혁신이라는 말이 언젠가부터 일상에 녹아든 것 같습니다. 특히 정보기술 ...
Read More

모델 마투쉬카, 유방암 수술 자국을 세상에 드러내다

1993년 8월 《뉴욕 타임스 선데이 매거진》은 모델의 사진 하나를 내보내기로 합니다. 예술학교를 졸업하고 1975년부터 이탈리아와 프랑스, 미국의 뉴욕에서 유명 예술가들과 ...
Read More

사이언스 라이프 페이스북 페이지

최근 기사들

  • 안티백서가 인터넷을 만났을때
    By PKD
  • 팬데믹은 왜 우한에서 발생했을까?
    By PKD
  • 카오스 이론으로 풀어보는 지구 온난화
    By 참솔
  • 코비드-19, 앞으로의 전개 방향, 그리고 생명과학의 중요성
    By Stemness
  • 심해생물들: 우리는 잘 살고 있습니다.
    By 세이렌
  • 강아지용 기생충약으로 암을 치료한다?
    By innuendo
  • 섬유화 너~!
    By innuendo
  • 달 보다 가기 힘든 그 곳, 심해
    By 세이렌
  • 제 1저자 파동에 감춰진 또 다른 문제들
    By innuendo
  • 장관 후보자의 고등학생 딸이 냈었다는 그 논문
    By PKD
  • 해파리와 함께 살아가기
    By 세이렌
  • 천체 물리학의 최종 목표: 외계행성을 찾아라
    By 김민재
  • 46억 년 전 우리에게 무슨 일이 있었을까? (2)
    By 김민재
  • 46억 년 전 우리에게 무슨 일이 있었을까? (1)
    By 김민재
  • 필진 모집
  • tSL에 관하여

Copyright © 2025 사이언스 라이프. All Rights Reserved.

Codilight Theme by Fame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