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Menu
  • 전체 기사
  • 특집 기사
    • innuendo가 떠먹여주는 의과학 한 입 거리
    • NeuroSum의 창조 과학 부수기
    • 안야로의 생정보 (Bioinformatics)
    • 별터/김승남의 천체 사진
    • 김호정의 개발도상국 주택 이야기
    • 옥토의 “사이보그 되기”
    • 스켑틱스(Skeptics), “식품의 오해와 진실 밝히기”
    • Stemness의 줄기 세포 이야기
    • PKD의 유전자 이야기
    • 오상의 과학과 사회
    • 김세훈의 물질 물리학
    • 혼돈의 가장자리를 헤매는 소금쟁이
    • 김민재의 천체물리학
    • 고장난 몸의 라디오 – 작은 목소리들
    • 푸른 나침반: 건전한 바다이야기
  • 분야별 기사
    • 생명과학
    • 의학
    • 물리학
    • 컴퓨터과학
    • 천문학
    • 기계공학
    • 식품과학
  • tSL에 관하여
    • tSL에 관하여
    • 필진 모집
    • 광고 및 후원 문의
  • Search
  • 전체 기사
  • 특집 기사
    • innuendo가 떠먹여주는 의과학 한 입 거리
    • NeuroSum의 창조 과학 부수기
    • 안야로의 생정보 (Bioinformatics)
    • 별터/김승남의 천체 사진
    • 김호정의 개발도상국 주택 이야기
    • 옥토의 “사이보그 되기”
    • 스켑틱스(Skeptics), “식품의 오해와 진실 밝히기”
    • Stemness의 줄기 세포 이야기
    • PKD의 유전자 이야기
    • 오상의 과학과 사회
    • 김세훈의 물질 물리학
    • 혼돈의 가장자리를 헤매는 소금쟁이
    • 김민재의 천체물리학
    • 고장난 몸의 라디오 – 작은 목소리들
    • 푸른 나침반: 건전한 바다이야기
  • 분야별 기사
    • 생명과학
    • 의학
    • 물리학
    • 컴퓨터과학
    • 천문학
    • 기계공학
    • 식품과학
  • tSL에 관하여
    • tSL에 관하여
    • 필진 모집
    • 광고 및 후원 문의
사이언스 라이프

안야로의 생정보 (Bioinformatics)

안야로의 생정보 (bioinformatics) 입니다. 딥러닝, 머신 러닝, AI와 관련한 내용을 연재하겠습니다.

 

 

 

 


빅데이터: 큰 용량의 역습 – 차원의 저주 (Curse of dimensionality)

(cover image edited from the book "The Making of Star Wars: The Empire Strikes Back") 빅데이터와 관련된 세번째 글입니다. 첫째 ...
Read More

빅데이터 : 샘플 양의 힘 (quantity over quality)

빅데이터와 관련된 이전 글에서는 데이터의 볼륨에 초점을 맞추어 얼마나 큰 규모의 데이터가 축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다시 보시려면 여기를..)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
Read More

빅데이터 : 얼마나 커야 Big 일까?

빅데이터라는 말은 기계학습 혹은 딥러닝이라는 말보다 한단계 앞서서 유행하기 시작한 말입니다. 데이터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다루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선 ...
Read More

딥러닝과 기계 학습

2017년 5월 바둑의 미래 서밋 (Future of Go Summit) 폐막식에서 알파고는 73승 1패라는 전적을 남기고 유유히 바둑계 은퇴를 선언했습니다. 일년 ...
Read More

사이언스 라이프 페이스북 페이지

최근 기사들

  • 안티백서가 인터넷을 만났을때
    By PKD
  • 팬데믹은 왜 우한에서 발생했을까?
    By PKD
  • 카오스 이론으로 풀어보는 지구 온난화
    By 참솔
  • 코비드-19, 앞으로의 전개 방향, 그리고 생명과학의 중요성
    By Stemness
  • 심해생물들: 우리는 잘 살고 있습니다.
    By 세이렌
  • 강아지용 기생충약으로 암을 치료한다?
    By innuendo
  • 섬유화 너~!
    By innuendo
  • 달 보다 가기 힘든 그 곳, 심해
    By 세이렌
  • 제 1저자 파동에 감춰진 또 다른 문제들
    By innuendo
  • 장관 후보자의 고등학생 딸이 냈었다는 그 논문
    By PKD
  • 해파리와 함께 살아가기
    By 세이렌
  • 천체 물리학의 최종 목표: 외계행성을 찾아라
    By 김민재
  • 46억 년 전 우리에게 무슨 일이 있었을까? (2)
    By 김민재
  • 46억 년 전 우리에게 무슨 일이 있었을까? (1)
    By 김민재
  • 필진 모집
  • tSL에 관하여

Copyright © 2025 사이언스 라이프. All Rights Reserved.

Codilight Theme by FameThemes